2007년 12번
2017. 1. 11. 18:06ㆍ전공화학 이야기/유기화학
말도 많고 탈도 많은 2007년 12번 유기분광학 문제이다.
유기화학 교과서에서 CH3NO2가 산으로서 반응하는 경우나 P2O5가 반응하는 경우를 거의 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야말로 멘붕이었다.
다섯단계 중 세단계(1단계, 4단계, 5단계)에서 푸는데 애를 먹었다.
아래 분광학 자료를 보고 맞추라고 낸것같은데, 그것 조차도 어렵다.ㅜㅜ
|
|
그러던 중 이 화합물이 "isoquinoline"이며, 그 제법이 맥머리 유기화학 제6판에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현재는 8판까지 개정되어 도저히 6판을 찾아볼수는 없었다.
isoquinoline의 제법을 검색해보니 비슷한 반응이 나왔다!!!
4단계는 일명 "Bischler–Napieralski reaction"이란다.(진짜 듣보잡 --)
스미스, 솔로몬, 맥머리 중 그 어느 책에서도 이런 반응은 없다.
어쨋든 메커니즘을 첨부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위 메커니즘에서는 문제에서 제시된 P2O5가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POCl3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고 볼 수 있겠다.
왜 문제에서 P2O5를 제시했는지는 모르겠다.
어쨋든 결론은 탈수반응처럼 진행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메커니즘을 문제에 적용해보면 아래와 같이 그릴 수 있겠다.
이것을 분광학 자료와 비교해보면 잘 맞는다~~ 오예!!
그러나 다시나와도 못풀것같다는 함정 ㅠㅠ
'전공화학 이야기 > 유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의 추출 (0) | 2018.08.22 |
---|---|
2016년 13번(2교시) (0) | 2017.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