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로 유전 현상 설명하기

2018. 12. 3. 22:39과학 이야기/생명과학

나는 개인적으로 강아지를 좋아해서 유전 부분을 설명하면서 강아지 예시를 많이 활용했다.
(과학적 사실은 아님. 단지 비유로만 활용해야한다.)

1. 순종
먼저 웰시코기는 다리가 짧은 특성이 있다. 웰시코기끼리 교배하면 계속 다리가 짧은 강아지만 나온다. 이것은 웰시코기가 '짧짧' 유전자를 갖기 때문이다.

반면 진돗개는 다리가 긴 특성이 있다. 진돗개끼리 교배하면 계속 다리가 긴 강아지만 나온다. 이것은 진돗개가 '길길' 유전자를 갖기 때문이다.

이렇게 같은종끼리 교배했을때 계속 그 형질이 유지되는 것을 순종이라고 한다.

2. 잡종
그러면 웰시코기와 진돗개를 교배시키면 어떻게 될까?
'짧짧'과 '길길'이 만나 자손은 '짧길'이 된다.
이렇게 두 순종이 교배해서 태어난 자손을 잡종이라고 한다. 두 가지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있다.

3. 우성과 열성
잡종인 자손은 어떻게 생겼을까?
인터넷에 찾아보면 잡종 강아지의 사진은 흔히 찾아볼수있다.
웰시코기와 진돗개의 믹스견 사진은...



두구두구...




이렇게 생겼다.
넘귀여워..
암튼 결론은 짧은 다리의 자손이 태어난다.
즉 '짧길' 중 '짧'은 겉으로 표현되는 우성, '길'은 겉으로 표현되지 않는 열성이다.